경기도가 ‘지하 공사 현장·땅 꺼짐 특별 안전대책’ 수립해 대형 굴착공사장 시군 합동 점검을 실시 등 분야별 대응을 적극적으로 시행한다. 이는 지반침하 사고 예방을 위해서다.

25일 도에 따르면 도는 지하 안전지킴이를 통해 대형 굴착공사장, 철도건설공사·토목공사 현장, 상하수도시설 등을 대상으로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도는 지난 4월 17일 광명시 신안산선 공사 현장 붕괴사고 이후, 분야별 특별 안전대책을 강화하기로 했다.

먼저 도는 지난 5월 ‘경기도 지하 안전 관리 및 유지에 관한 조례’ 개정을 통해 경기 지하 안전지킴이를 제도화했다.

지하 안전지킴이는 토질·지질·구조 분야 등 전문가 42명이 지하 안전 평가 대상(10m 이상 굴착) 현장에서 2인 1조로 안전관리계획 준수 여부 등 현장 자문을 하는 제도다.

지하 안전지킴이는 지난달 20일부터 6월 5일까지 도내 대형 굴착공사장 등 44개소에 대한 시군 합동 점검했다.

여기에 도는 시군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 지원을 위한 국비 10억 8000만 원을 확보했으며, 1회 추경을 통해 지반침하 예방을 위한 조사용역비를 16개 시군에 지원할 방침이다.

도는 도내 철도건설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점검과 관리대책도 강화해 시행하고 있다.

옥정포천선(7호선 연장) 등 도 추진 광역철도 건설사업에 대해서는 시추조사 및 지하 물리탐사 구간을 확대하는 등 선제적으로 사고를 예측하고, 지상부 안전요원을 상시 배치 했다.

도봉산옥정선(7호선 연장)의 경우 지난 5월 23일~28일 지하 매설물 관리주체와 지반침하 전문가가 함께 참여해 중점 점검을 실시했다.

이와 함께 수원발 KTX 직결사업,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건설공사 등 국가나 민간이 발주해 현재 지하 구간 공사 중인 5개 철도 건설공사 현장에도 관계기관과의 협조를 통해 지난달 12일~21일 도 철도건설기술자문위원과 기초단체 철도부서가 합동점검 했다.

아울러 노후 상·하수 관로에 의한 지반침하 예방을 위해 도는 노후관 정밀 조사와 개량사업을 연중 지속 추진하고 있다.

도는 특히 노후 관로 정비사업에 대한 국비 지원을 지속해서 건의해 총 180억 원을 추가 확보했다.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지하 공사 현장 등은 안전관리 규정의 이행 여부를 철저히 점검하고, 예년보다 이른 장마와 집중호우 등 예기치 못한 기상 상황에 미리 대비하고 선제적으로 대처해 달라”고 당부했다.
수원=윤상연 기자